리눅스에서 파일을 동기화하고 백업할 때 강력한 도구 중 하나가 rsync입니다.
네트워크를 통해 빠르고 효율적으로 파일을 전송할 수 있으며, 로컬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죠.
오늘은 rsync의 설치 방법부터 기본적인 사용법까지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! 😃
1. rsync란?
rsync는 Remote Sync의 약자로, 파일 및 디렉터리를 효율적으로 동기화하는 유틸리티입니다.
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.
✅ 증분 전송: 변경된 파일만 복사하여 속도를 최적화
✅ SSH 지원: 보안이 강화된 원격 전송 가능
✅ 압축 전송: 네트워크 트래픽 절감
✅ 퍼미션, 소유권 유지: 파일 속성을 그대로 유지
2. rsync 설치하기
리눅스 배포판에 따라 설치 방법이 조금씩 다릅니다.
📌 Ubuntu / Debian
sudo apt update
sudo apt install rsync -y
📌 CentOS / RHEL
sudo yum install rsync -y
📌 Fedora
sudo dnf install rsync -y
📌 Arch Linux
sudo pacman -S rsync
설치가 완료되었는지 확인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세요.
rsync --version
버전 정보가 출력되면 정상적으로 설치된 것입니다. 🎉
3. rsync 기본 사용법
rsync의 기본적인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rsync [옵션] 원본 경로 대상 경로
3.1 로컬에서 파일 복사
예를 들어, backup/ 폴더를 backup_copy/로 복사하려면:
rsync -av backup/ backup_copy/
📌 옵션 설명
- -a : 파일 속성을 유지 (퍼미션, 소유자, 심볼릭 링크 등)
- -v : 진행 과정을 출력 (verbose)
4. 원격 서버로 파일 전송
4.1 SSH를 사용한 원격 서버 전송
rsync -av -e ssh backup/ user@remote_server:/home/user/backup/
📌 옵션 추가 설명
- -e ssh : SSH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보안 전송
- user@remote_server : 원격 서버의 사용자 계정과 주소
- /home/user/backup/ : 원격 서버의 저장 위치
4.2 원격 서버에서 로컬로 파일 가져오기
rsync -av user@remote_server:/home/user/backup/ ./backup_restore/
5. 추가적인 유용한 옵션들
✅ 삭제된 파일 동기화 (--delete)
rsync -av --delete backup/ backup_copy/
💡 원본에 없는 파일을 대상에서도 삭제합니다. 주의해서 사용하세요!
✅ 압축하여 전송 (-z)
rsync -avz backup/ user@remote_server:/home/user/backup/
파일을 압축해 전송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.
✅ 진행률 표시 (--progress)
rsync -av --progress backup/ user@remote_server:/home/user/backup/
파일 복사 중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6. rsync를 이용한 자동 백업 스크립트
크론탭(crontab)과 함께 사용하면 자동 백업이 가능합니다.
#!/bin/bash
rsync -av --delete /home/user/data/ /mnt/backup/
echo "백업 완료: $(date)" >> /var/log/backup.log
이 스크립트를 /home/user/backup.sh로 저장한 후 실행 권한을 부여합니다.
chmod +x /home/user/backup.sh
크론탭을 열어 (crontab -e), 매일 밤 2시에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.
0 2 * * * /home/user/backup.sh
마무리
지금까지 rsync의 설치 및 기본 사용법을 살펴보았습니다.
로컬 파일 복사부터 원격 서버 백업까지 정말 유용한 도구이니, 활용해 보세요!
💡 혹시 rsync에 대해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질문해주세요! 😉
✅ 오늘 배운 핵심 정리
✔ rsync는 빠르고 효율적인 파일 동기화 도구
✔ -a, -v, -z, --delete 등의 옵션 활용
✔ SSH와 결합해 원격 백업 가능
✔ 자동화하여 편리한 백업 시스템 구축
그럼, 다음에도 유용한 리눅스 꿀팁으로 찾아오겠습니다! 🚀
'리눅스-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📌 [CentOS] Rsync를 이용한 파일 가져오기/복사/동기화 🚀 (0) | 2025.02.24 |
---|---|
📌 [Rocky Linux 8] GUI (GNOME) 설치 방법 완벽 정리! 🚀 (0) | 2025.02.24 |
📌 [CentOS 8] 디스크 관리 | RAID 개념 완벽 정리 🚀 (0) | 2025.02.24 |
[리눅스] CentOS 8에서 디스크 용량 증설하는 방법 완벽 정리! (0) | 2025.02.24 |
VMWare 및 VirtualBox VM 이미지를 KVM 이미지로 변환하는 방법 (0) | 2025.02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