리눅스-Linux

📌 [CentOS 8] 디스크 관리 | RAID 개념 완벽 정리 🚀

info4503 2025. 2. 24. 18:20

안녕하세요! 오늘은 **RAID(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)**의 개념과
CentOS 8에서 RAID를 설정하는 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.

서버 운영 시 데이터 보호, 성능 향상, 가용성 증가가 중요한데요,
RAID는 여러 개의 디스크를 하나로 묶어 성능과 안정성을 높여주는 기술입니다.

그럼 RAID의 개념부터 실습까지 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! 😊


1️⃣ RAID란?

**RAID(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)**는
여러 개의 디스크를 하나처럼 묶어 데이터 보호 및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입니다.

RAID의 주요 목적

  • 데이터 보호 (디스크 장애 발생 시 복구 가능)
  • 성능 향상 (읽기/쓰기 속도 증가)
  • 고가용성(HA) (서버의 안정성 증가)

RAID의 종류

RAID 레벨 개요 장점 단점

RAID 0 데이터 스트라이핑 속도 빠름 장애 발생 시 데이터 손실
RAID 1 데이터 미러링 장애 발생 시 복구 가능 저장 공간 50% 사용
RAID 5 패리티를 포함한 스트라이핑 속도 + 안정성 균형 최소 3개 디스크 필요
RAID 6 이중 패리티 RAID 5 RAID 5보다 안정적 최소 4개 디스크 필요
RAID 10 RAID 1+0 (미러링 + 스트라이핑) 속도 + 복구 가능 최소 4개 디스크 필요

💡 RAID 0은 성능이 빠르지만 장애 발생 시 데이터 복구 불가능하므로 주의하세요!


2️⃣ RAID 설정 전 확인할 사항

📌 2.1 디스크 확인

RAID를 설정하기 전에 사용 가능한 디스크를 확인해야 합니다.

lsblk

📌 출력 예시

NAME   MAJ:MIN RM  SIZE RO TYPE MOUNTPOINT
sda      8:0    0  50G  0 disk  
sdb      8:16   0  50G  0 disk  
sdc      8:32   0  50G  0 disk  

RAID 1 설정 시 최소 2개, RAID 5 설정 시 최소 3개 이상의 디스크가 필요합니다.


3️⃣ RAID 구성 방법 (mdadm 사용)

CentOS 8에서는 mdadm을 사용하여 RAID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.
여기서는 **RAID 1(미러링)**을 설정하는 방법을 실습해보겠습니다.

📌 3.1 mdadm 패키지 설치

sudo dnf install mdadm -y

📌 3.2 RAID 1 생성

아래 명령어로 /dev/sdb와 /dev/sdc를 사용하여 RAID 1을 구성합니다.

sudo mdadm --create --verbose /dev/md0 --level=1 --raid-devices=2 /dev/sdb /dev/sdc

📌 옵션 설명

  • --create : 새로운 RAID 생성
  • --level=1 : RAID 1 설정 (미러링)
  • --raid-devices=2 : 2개의 디스크 사용

📌 3.3 RAID 상태 확인

cat /proc/mdstat

📌 출력 예시

Personalities : [raid1]  
md0 : active raid1 sdb[0] sdc[1]  
      50G blocks [2/2] [UU]

✅ [UU]는 정상적으로 RAID가 동작 중이라는 의미입니다.


4️⃣ RAID 파일 시스템 생성 및 마운트

📌 4.1 파일 시스템 생성

RAID 장치(/dev/md0)에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.

sudo mkfs.ext4 /dev/md0

📌 4.2 마운트 및 자동 마운트 설정

먼저, 마운트할 디렉터리를 생성합니다.

sudo mkdir /mnt/raid1

그리고 RAID 장치를 마운트합니다.

sudo mount /dev/md0 /mnt/raid1

정상적으로 마운트되었는지 확인하세요.

df -h | grep /mnt/raid1

📌 4.3 부팅 시 자동 마운트 설정

RAID 장치를 /etc/fstab에 추가합니다.

echo '/dev/md0 /mnt/raid1 ext4 defaults 0 0' | sudo tee -a /etc/fstab

5️⃣ RAID 장애 테스트 및 복구

📌 5.1 디스크 장애 시뮬레이션

디스크 장애를 시뮬레이션하려면 /dev/sdb를 RAID에서 제거합니다.

sudo mdadm --fail /dev/md0 /dev/sdb
sudo mdadm --remove /dev/md0 /dev/sdb

📌 RAID 상태 확인

cat /proc/mdstat

🚨 [U_]로 표시되면 디스크 장애 발생을 의미합니다.

📌 5.2 새로운 디스크 추가 및 복구

새로운 디스크(/dev/sdd)를 추가하여 RAID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.

sudo mdadm --add /dev/md0 /dev/sdd

📌 RAID 상태 확인 (복구 진행 중)

cat /proc/mdstat

✅ [UU]로 돌아오면 RAID가 정상 복구된 것입니다. 🎉


🎯 마무리

오늘은 RAID 개념과 CentOS 8에서 RAID를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.

✅ 핵심 요약

RAID는 성능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디스크 구성 방식
RAID 1(미러링)은 데이터 보호에 유용하며 최소 2개 디스크 필요
RAID 설정을 위해 mdadm 패키지를 사용
RAID 장애 발생 시 복구하는 방법까지 익히기

💬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로 의견을 남겨주세요! 😃
다음에도 유용한 리눅스 정보를 가져오겠습니다. 🚀🚀🚀